덧없는인생 쉬엄쉬엄..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크랩] 인제 마장터: 문명을 비켜선 30년전의 시골 제목 없음 30년 전의 시골 마장터 샛집 입구에 세워져 있는 <환경보전지역 무단출입불가> 표지판 앞에서 샛집의 식구인 개가 길목을 지키고 있다. 길은 음미하는 것이다. 더더욱 바퀴가 다닐 수 없는 조붓한 길에서는 게으른 길의 미식가가 되어야 한다. 마장터 가는 길은 바퀴가 갈 수 없는 길이다.. 더보기 [스크랩] 눈물나는 그 시절 출처 : 토지사랑모임카페글쓴이 : 제갈공명 원글보기메모 : 더보기 [스크랩] 옛 생활 도구들 등 잔 멧 돌 지 게 오동나무로 만든 가야금 새끼를 꼬아만든 망태기 하회탈 절 구 물이나 술, 장등을 담궈 놓거나 음식물등을 저장하는데 쓰인 독 더보기 [스크랩] 1951년 그때 우리 나라 삶 출처 : 토지사랑모임카페글쓴이 : 토지사랑 원글보기메모 : 더보기 [스크랩] 아득한 추억들 출처 : 토지사랑모임카페글쓴이 : 토지사랑 원글보기메모 : 더보기 [스크랩] 우리 옷과 장신구 제목 없음 우리 옷과 장신구 1) 노리개 노리개는 패물의 하나로 겉고름과 안고름 또는 치마허리에 차서 우리 고유의 복식미를 고조시키는 대표적인 장신구이다. 노리개의 종류는 만드는 재료, 색상, 문양, 의미 등에 따라 분류되며, 소재는 금, 은, 보석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자수나 장식적 부속품 등으.. 더보기 [스크랩] 점점 사라져가는 시골 간이역들 추억과 향수의 간이역, 문화재로 다시 태어나다! 추억 속으로 사라져가는 무명의 시골 간이역이 문화재로 등록되어 영구히 보존됩니다. 문화재청이 등록 예고한 간이역 12곳은 ▲화랑대역(경춘선) ▲일산역(경의선) ▲팔당 역(중앙선) ▲구둔역(중앙선) ▲심천역(경부선) ▲도경리역(영동선) ▲남평역(.. 더보기 [스크랩] 추억의 볼거리 작두, 낫, 망태기가 보이네요.. 붕어빵 나오기전에 저 풀빵을 먹었었죠..? ㅎㅎㅎ 축음기 이네요.. 소 고삐 , 옛날 시골집에 흔이 걸려 있던 고삐 지요.. ㅎㅎㅎ 시금치 먹고 힘 솟는 뽀빠이 "나도 벌써 75살" 우리가 쓰고 갖고 놀던것들.. 물 양동이.. 어릴적 물지게 안 져본분들 계시나요.. ㅎㅎㅎㅎㅎ 저.. 더보기 이전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 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