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러미, 소농·소비자의 관계형 경제모델” | ||||||
aT, CSA(공동체지원농업) 활성화 토론회 | ||||||
| ||||||
중·소 가족농 중심… 먹거리 복지 연계해야 # 충북 괴산군 감물느티나무. 2009년부터 꾸러미사업을 시작. 년 회비를 선납으로 받음으로써, 농산물 출하기 이전까지의 생활비와 영농비를 충당하기 때문에 일반농가에 비해 경영구조가 안정. 공동농사를 통해 영농계획·회원관리·회계·경영 등 철저한 협업과 역할분담이 특징. #2. 언니네 텃밭 전여농의 언니네텃밭. 2009년 우리텃밭으로 시작. 용산생협과 연계해 로컬푸드 식당을 준비하고 있으며, 제철농산물을 식자재로 반찬을 만들어 소비자 회원에게 공급하는 사업 추진 중. 여성쉼터와 희망텐트 등 사회적 연대가 필요한 곳에 ‘나눔꾸러미’를 보내고 있음. 꾸러미 사업이 단순한 직거래를 넘어 대중적인 식량주권 운동과 결부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 #3. 완주 건강한밥상 2008년 완주군 농업·농촌발전 ‘약속프로젝트’ 5개년 계획 수립으로 꾸러미 사업 추진. 지자체 주도 생산기반 조성에서 물류체계 구축, 마케팅과 구매조직화까지 통합 로컬푸드 추진. 거점가공센터를 기반으로 반찬류, 제철김치류 등 가공품을 다양화. 지자체 중심으로 소농(고령농, 여성농, 귀농인)들의 안정적인 판로를 마련해 농촌활력 증진 및 소득증대에 기여. 지난 15일 소비자가 참여하는 새로운 직거래사업의 활성화를 모색하기 위한 ‘CSA(공동체지원농업) 활성화 토론회’에서 건국대학교 윤병선 교수가 밝힌 꾸러미 사업의 주요사례다. 윤 교수에 따르면 꾸러미 사업은 소수의 생산자와 다수의 소비자가 만나는 유통형태를 통해 건전한 농업과 식량의 관계를 복원하는 대안운동의 매개물이다. 지역의 소농·가족농을 지역의 소비자가 지킴으로서 지역사회의 근간인 농업을 유지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확보하려는 사업이다. 정부의 꾸러미 사업 지원정책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소수 생산농가와 다수의 소비자가 결합하여 참여하는 관계형 경제모델이다. 생산농가와 소비자 그룹의 자발성에 기초하여 지속성·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다. 윤 교수는 “꾸러미 활성화를 위해서는 생산농민과 소비자를 조직화해야 하며, 생산기반시설과 농산가공 시설을 지원해야 한다”면서 “지자체의 자율적인 꾸러미 지원을 위해 포괄보조금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가 임산부와 영유아 영양플러스 사업 등의 먹거리 지원과 꾸러미를 연계시켜야 한다”면서 “사회적 배려계층에 대한 지원을 통해 꾸러미 사업을 확산시켜 전국민의 인식제고를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출처 : 하늘내린터를 찾아 귀농귀촌하기
글쓴이 : 맑은하늘/정미영 원글보기
메모 :
'지속가능한 귀농귀촌 > 귀농귀촌 도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차량용 블랙박스 농가 지킴이 CCTV역할 톡톡 (0) | 2013.03.17 |
---|---|
[스크랩] 농지연금에 대하여 (0) | 2013.03.11 |
[스크랩] 숲 해설 전문가 교육 (0) | 2013.01.24 |
억대 농민에 가려진 빈농 대책 시급하다 (0) | 2013.01.23 |
[스크랩] 농촌 공동화 심화…맞춤형 귀농 전략 중요 (0) | 2012.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