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후 전원생활-사누스빌 |
닻 올린 전원마을ㆍ은퇴자마을 조성 사업
아직 시작 단계...사후 관리가 성공 열쇠
(서울=연합뉴스) 김용수 편집위원 = '찐빵마을'로 유명한 강원도 안흥에서 치악산 쪽으로 411번 도로를 따라 5㎞ 정도 달리다 보면 도로 오른편으로 `사누스빌'이라는 이름의 전원주택단지가 나온다. 치악산 줄기인 매화산을 뒤로, 앞으로는 주천강이 내려다보이는 야트막한 언덕에 위치한 단지에는 현재 15가구의 전원주택이 들어서 있다.
민간 주도로 조성된 이 전원단지는 전체 3만여 평 가운데 2만여 평을 삼림욕장, 야생화 단지, 산책로 등으로 조성했거나 조성 중이다. 택지는 1만평 정도로 오히려 `부대시설' 부지가 택지보다 훨씬 크다 . 전원에 오면 전원이 있어야 한다는 뜻에서다. 분양 건수를 늘리기 위해 자연 공간보다 택지를 최대한 개발하는 경우와는 사뭇 다르다.
입주자의 상당수는 가톨릭 신자. 입주자 간에 결속력과 친화력이 강하다. 이곳에서는 김장도 같이 담고 송년회도 모두 모여서 갖는다. 가끔은 바비큐 파티, 산행도 같이 하고 최근에는 입주민끼리 사진 동호회를 만들었다. 사누스빌은 단순한 전원단지만이 아니라 자연과 신앙을 매개로 한 전원생활 생태 공동체를 지향하고 있다.
현재 사누스빌은 `전원 마을' 성공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관심을 끌고 있다. 전원생활을 하려는 도시민들의 입장을 배려한 차별화와 `사후 관리' 때문이다.
◇ 성공 가능성 보여준 전원단지 `사누스빌' = 대부분의 전원마을이나 전원주택단지 개발이 입주자를 모집해 택지 분양이 끝나면 `나몰라라' 하는 것과는 달리 사누스빌에서는 개발 회사가 아파트 관리사무소처럼 현장에 상주하면서 단지 시설을 유지 관리하고 입주민들을 챙긴다. 회사측이 단지 내 가로등 전기료, 단지 청소, 지하수 관리, 쓰레기 분리 수거 등을 맡고 입주민들은 관리비를 내는 방식이다.
현재 관리비는 세대당 5만원. 관리비로는 직원 인건비도 충당하기 어렵지만 수도가 얼어서 터지거나 보일러 누수 같은 돌발 상황이 발생하면 직원이 달려간다. 개발한 회사가 분양 후에도 현장에 상주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들이다. 택지를 분양받은 사람들이 집을 지을 때 부닥치는 복잡한 문제도 회사가 행정기관과 완충 역할을 하면서 챙겨줄 수 있다.
사누스빌은 택지를 분양받은 사람이 집을 지어 이용하다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일반인에게 일정 기간 임대하거나 주말 펜션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그 수익을 되돌려주는 시스템도 운영하고 있다. 전원주택 개념에 펜션의 수익성을 접목시킨 것. 앞으로 단지내에 입주자들이 지역주민의 농산물을 구입해 효소발효 식품, 묵은지 등 웰빙 식품을 만들어 팔고 도시민들이 숙박도 할 수 있는 `건강 팜'을 만들 계획이다. 그렇게 되면 입주자들에게 일거리도 되고 수익도 나눠가질 수 있게 된다. 지역주민의 소득에도 도움이 된다.
사누스빌의 이러한 시도는 호평을 받았다. 입주자의 대부분이 분양 사무실을 찾은 당일 계약을 했을 정도. 전원주택 단지 개발이 용두사미로 끝나거나 토목공사 후에는 지지부진해지기 일쑤지만 사누스빌은 토지구입에서 개발 인허가, 토목공사, 입주자 모집 등을 거쳐 지금의 전원주택들이 들어서기까지 3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 전원주택 단지를 개발한 박영군 ㈜사누스 대표는 "도시의 실수요자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상식에 입각해 진솔하게 공을 들인 결과"라고 말했다.
전원생활을 꿈꾸는 도시민과 실버세대를 겨냥한 `전원마을', `은퇴자마을' 조성사업이 전국 곳곳에서 한창이다. 귀촌하려는 실수요자들이 거주공간으로 전원형 주택단지를 비교적 선호하고 있는 데다 정부가 실버세대의 농촌 유치와 정착 모델로 선진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돼 있는 전원마을 조성에 발벗고 나섰기 때문이다.
정부는 현재 도시민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농촌에 정착해 쾌적한 환경속에서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전원마을 조성사업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대통령이 국가의 중요한 사업으로 강조한 이 사업은 도시민을 농촌에 적극 유치, 농촌 사회의 활력을 높이면서 도시의 과밀화 문제 등도 완화하고 도농 균형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 정부 `전원마을' 조성 사업 성공할까 = 지원 내용은 시나 군의 지방자체단체나 전원마을 입주를 희망하는 개인이 동호회 등을 만들어 20가구 이상이 들어설 전원마을을 조성할 경우 도로, 상하수도, 오폐수 처리시설 등 마을기반 시설 설치를 정부가 지원한다는 게 골자. 마을 규모에 따라 정부가 10억-20억원(국고 80%. 지방비 20%)을 지원하고 마을부지 확보와 주택건축 등은 입주자가 부담한다. 주택 건축비에 대해서는 정부가 호당 3천만원 한도에서 저리 융자 지원을 해주고 전원마을 조성 부지의 농지전용 부담금도 감면해 준다.
2013년까지 300개의 전원마을을 조성한다는 게 정부의 현재 계획. 이를 위해 작년 10월 서울에서 `전원마을 페스티벌'을 개최하는 등 대대적인 홍보에 나서기도 했다. 이 페스티벌에서는 전국 20개 시ㆍ군에서 추진중인 22개 전원마을의 입주자(2천814 세대)를 모집한 결과 9천411 세대가 신청, 3.3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여 전원생활에 대한 도시민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전원마을 조성사업은 2006년도에만 국고 260억원이 투입돼 작년 말 현재 전국 55개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도시민 농촌 유치의 기폭제 역할이 기대되고 있는 전원마을 사업이 가시화되기까지는 앞으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갈 길도 멀어보인다. 사업 자체가 2004년 시작된 탓에 전원마을 조성 사업이 대부분 사업계획 수립이나 입주자 모집 등 아직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와 함께 전원마을 사업이 택지 개발과 분양을 통한 이익 추구에만 급급한 전원주택단지 부실 개발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와 보완, 감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은퇴후 전원생활 -박영군 사누스 대표 |
이와 함께 전원마을 사업이 택지 개발과 분양을 통한 이익 추구에만 급급한 전원주택단지 부실 개발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와 보완, 감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자체나 동호회 등의 민간 추진 주체가 지속적인 관심과 열의를 갖고 전원마을 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자칫 사업 자체가 표류하거나 지지부진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 민간 추진 사업의 경우 부지 매입, 단지설계, 건축, 준공 등에 이르기까지의 사업을 비전문가가 하기에는 벅차다는 지적이, 지자체의 경우 사업을 전담할 만한 인력이 부족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기도 하다.
전원마을 조성이라는 인프라 못지않게 사후관리가 사업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많다. 전문가들은 도시민 농촌 유치에는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도 필요하지만 어느 정도 소득이 생기는 소일거리와 여가 취미 활동 등 농촌으로 삶의 터전을 옮긴 후 재미와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지속적인 프로그램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 개인의 노력과 열성으로 결실을 거둔 사누스빌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yskim@yna.co.kr
(끝)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
'지속가능한 귀농귀촌 > 보람있는 전원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연과 함께 하는 공간입니다 (0) | 2009.08.18 |
---|---|
[스크랩] 흙집 (0) | 2009.06.04 |
[스크랩] 韓國의 亭子 (0) | 2008.09.25 |
전원주택 펜션 여건 좋아졌다. (0) | 2008.04.29 |
아파트별장은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중과대상 아니다. (0) | 2008.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