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촌(전원생활)의 이런저런 이야기들..
전원주택이 초심자를 가장 괴롭히는 것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전원주택을 왜 찾느냐”고 물으면 파란 잔디가 깔린 마당이 있는 집에 살고 싶어서라고 한다.
그런 사람들에게 5년간 공들여 가꾼 잔디마당을 갈아엎었던 경험담을 들려주면
“정말이냐?”며 기가 죽는다.
처음 전원주택을 지어 시골로 내려갔을 때 제일 먼저 마당에 잔디를 깔게된다.
처음에는 요령을 잘 몰라 촘촘하게 심다가 이웃의 훈수를 받아 띄엄띄엄 심는 등 중구난방으로 심다보면 잔디가 고르게 나지 않아서 그 사이로 잡초가 먼저 올라온다.
급한 마음에 마당을 잘 고르지도 않아서 잔디 심는 일보다,
잔돌을 골라내는 일이 더 힘든다.
(소박한 귀촌인의 로망인 대지 100평. 건물면적 35평의 아담한 전원주택. /
정원에 대한 욕심은 스스로 감당할 수 있는 범위이어야 한다)
□ “1년은 그냥 맨땅마당을 밟고 견뎌보라”
60평 가까운 넓은 마당에 잔디를 다 깔기는 했는데 고생은 그때부터 시작된다.
첫해 겨울을 보내고 봄이 오자마자 잡초들의 역습이 시작된 것.
본래 밭이었던 땅인지라 잡초씨가 깊이 박혀 있었던 데다 초기에 잡초를 제거하지 못한 것이 화근이었다.
좀 과장하자면, 뽑아내고 돌아서면 다시 올라오는 잡초들의 역습에는 속수무책이다.
결국 마당을 갈아엎고 재정비하기로 한다.
잡초씨가 박혀 있는 땅에는 깨끗한 산흙을 트럭으로 수십대 실어와 복토(覆土)를 하고 처음부터 잡초가 올라올 틈을 주지 않고 잔디를 촘촘하게 심었다.
무엇보다 잔디 마당을 절반으로 줄이고 대문 쪽은 자갈로 깔았다.
5년을 살아 보고 나서야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잔디마당이 어느 정도인지 분수를 알게 된 것이다.
100평 대지가 잠실운동장보다
더 버겁다는 것도 그 때 알았다.
전원주택 초심자들의 가장 많은 고생담도 ‘잔디의 역습’이다.
마당을 아예 시멘트로 덮은 경우도 꽤 있다.
콘크리트가 싫어서 전원으로 내려와서 그게 무슨 짓이냐고 하겠지만, 당해보지 않으면 모른다.
(잔디 관리가 어려워 아예 판석과 자갈로 마당을 꾸민 집. / 파란 잔디가 깔린 그림같은 집이 좋기는 하지만 현실은 그림이 아니다)
잔디 가꾸는 일을 하는데 있어서,
전원주택지로 얼마만한 땅을 확보할 것인지 욕심내기 전에 먼저 스스로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알고 나서야 한다.
남이 지어주는 아파트에 몸만 옮겨 다니다가 생전 처음 내손으로 집을 짓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집을 가꾸고 싶어서 몸이 달아 있다.
그러나 자연은 도망가지 않는다.
1년 동안은 황토마당을 그대로 밟고 견뎌라. 잔디 때문만은 아니다.
나무를 심는 일도 그렇다.
맨땅으로 사계절을 지내보면 내 집을 둘러싸고 있는 산과 들의 나무와 풀들이 연출하는 파노라마가 펼쳐진다.
그 파노라마가 조경의 교과서다.
어떤 나무를 심을 것인지 결정하기 전에 주변에 어떤 꽃들이 피고 지는지 알아야 한다.
사계절을 지내봐야 가장 잘 자라는 나무가 어떤 것이고 어떤 꽃을 심어야 주변과 조화가 되는지 가늠이 된다.
잡초도 어느 구석에서 어떤 놈이 잘 올라오는지 알게 된다.
땅은 그때까지 기다려준다. 사람이 기다리지 못할 뿐이다.
(시골 전원주택은 울타리 넘어 야산에 흐드러지게 핀 진달래도 내집을 받쳐주는 훌륭한 조경이다.
□ “이웃과 고립되면, 전원생활도 실패”
마당을 가꾸는 일보다 더 급한 일은 시골 문화를 이해하고 시골 생활에 적응하는 일이다.
적어도 집 바깥의 일은 시청에서 해결해 주는 도시생활과 담장 안팎의 일을 모두 알아서 처리해야 하는 전원생활은 문화적으로 완전히 이질적인 삶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꿈에 부풀어 전원생활에 도전했다가 좌절하고 다시 돌아온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시골생활에 대한 적응 실패가 대부분이다.
특히 현지 주민과의 갈등으로 전원생활을 포기한 사람들은,
“순박한 줄 알았더니 시골사람들이 더 무섭다”는 말을 많이 한다.
이런 전제 자체가 이기적일 수 있다.
전원주택에 살다보면 도시사람들의 몰상식한 행동에 어이없을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주인이 버젓이 마당에서 일하고 있는데 아무 양해도 구하지 않고 불쑥 대문 안으로 들어서거나, 현관까지 바로 쳐들어오기도 한다.
엄연히 사유지인 마당을 아무나 발을 들여놓는 공간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그런 사람들에게 정색하고 나무라면
‘시골 인심이 더 무섭네’라고 눈을 흘긴다.
도시 한복판이라면 절대로 할 수 없는 행동을 대수롭지 않게 하면서 ‘시골이니까…’라고 가볍게 생각한다.
이런 사소한 일을 통해서 시골사람들은 자존심에 상처를 받는다.
시골이 순박하기를 바란다면 스스로도 먼저 순박해야 한다.
(주변에는 없는 봄에는 꽃이피고 여름에는 열매가 맺고 가을에는 단풍이들고 겨울에도 푸르름이 있는 경관조경이 되어야한다. / 적어도 4계절은 지내봐야 산과 들의 풍경과 겹치지 않는 나만의 조경 노하우를 터득할 수 있다)
최근에 은퇴하고 과수원을 사서 시골로 내려갔던 사람은,
마을에서 ‘버르장머리 없는 사람’이라는 말이 돈다는 얘기를 듣고 화들짝 놀랐다.
낯도 설고, 처음 접한 과수원 일에 치여서 이웃하고 눈을 마주치지 않고 몇 달을 지냈더니 ‘사람을 보고도 인사를 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낙인이 찍혔다.
마을 어른들과 막걸리 잔을 기울이며 오해를 풀고 나서야 사면을 받고,
과수원일에 대해서도 이런저런 훈수를 받을 수 있었다.
시골은 열린 공간이면서 동시에 닫힌 공간이다.
안보는 것 같아도 모두가 보고 있다.
그 시선을 외면하면 고립된다.
이웃으로부터의 고립이 도시에서는 일상이지만, 시골에서는 생활 자체가 견디기 힘들 정도로 피곤해진다.
그 출발점은 땅과 집을 바라보는 마음이다.
마을 사람들은 땅과 집을 가꾸는 것을 보면서 그 사람의 마음을 본다.
땅 앞에서 겸손하면 마을 사람들의 보는 눈도 달라진다.
귀농귀촌 길라잡이 하늘내린터 이야기
http://blog.daum.net/skynaerin
'지속가능한 귀농귀촌 > 보람있는 전원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시산제 지내는 절차 (0) | 2014.04.10 |
---|---|
[스크랩] 건강한 봄나물의 향연 (0) | 2014.03.06 |
[스크랩] 농지연금을 이용하자 (0) | 2014.03.03 |
[스크랩] 전국 등산지도 스마트폰 어플 (0) | 2014.02.22 |
[스크랩] 대추, 밤, 감이 주는 의미와 교훈 (0) | 2014.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