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누가 내가 다닌던 길을 막어!”
b: “내 땅 내 맘대로 막는데 무슨 상관이야!”
a: “흥 그래! 당신 어디 맘대로 해봐!”
b: “알았어~~!”
이렇게 입씨름 하던 a와 b는 이웃간이면서 b가 길을 막아 버리자 a는 화가 머리끝까지 났다
그래서 민법 219조 [주위 토지 통행권] 에 기하여 a는 b를 상대로 통행의 방해를 배제하는 소송을 제기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 소송은 누가 이길까요?
b는 정당한 일 일까요?
a는 다시 다니던 길을 다닐수 있게 될까요?
얼마 전 사무실의 고객 한분이 지목이“전”인 땅을 팔아 달라고 하셔서 지적도를 살펴보니 주위의 땅에 길이 없는 맹지였습니다.
그래서 몇 번의 매수 의향이 있는 고객들은 맹지라는 사실을 알고 고개를 돌려 버렸습니다.
그런데 땅 주인에게 맹지가 된 사연을 들어 보니 예전에는 산을 따라서 길이 있었는데 산 주인이 그 길을 막아 버렸다는 것입니다.
그러자 이 분은 졸지에 자신의 땅이 맹지가 되어 버린 것인데 이 길이 아니면 달리 통행 할 수 있는 길이 없고 또한 농사를 지을 수 도 없어 그냥 묵전이 되어 버린 상태입니다.
이분은 자신의 주위에 길이 있는 땅은 80만원을 넘어 가나 이분 땅은 길이 없는 관계로 다른 땅 보다 20십만씩 싸게 내놓았지만 아직도 이분의 땅은 팔리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분의 땅을 팔기 위해서는 주위에 길이 있는 분의 땅을 같이 묶어서 팔던지 아니면 길을 막은 산 주인을 상대로 통행의 방해를 배제 해달라는 소송을 하여 승소 판결을 받아 길을 확보 할수 있는 것 이 두가지 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만 할 것입니다.
땅주인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길은 통행권을 확보하여 땅을 매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소송문제 역시 비용이나 시간을 감안해야 하지만 이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라 봅니다.
저는 이러한 문제를 갖고 판결문의 내용을 살피다가 통행권의 민법 규정을 알게 되었습니다.
민법 제219조에 규정된 [주위 토지통행권]은
[1] 어느 토지와 공로 사이에 그 토지의 용도에 필요한 통로가 없는 경우에 그 토지 소유자는 주위의 토지를 통행 또는 통로로 하지 아니하면 공로[다수가 이용하는 길]에 출입 할수 없거나 과다한 비용을 요구하는 때에는 그 주위의 토지를 통행 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통로를 개설 할수 있다.그러나 이로인한 손해가 가장 적은 방법을 선택 하여야 한다.
[2] 전항의 통행 권자는 통행지 소유자의 손해를 보상 하여야 한다.
아래 판결문 내용중 민법 제219조에 규정된 주위 토지 통행권은 공로와의 사이에 그 용도에 필요한 통로가 없는 토지의 이용이라는 “공익목적을 위하여” 피 통행지 소유자의 손해를 무릅쓰고 특별히 인정되는 것
토지의 통행권은 “공익을 위하여” 피 통행지 소유자의 손해를 무릎 쓰고 특별히 인정 되는 것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기판력의 범위에서 판단을 해보겠습니다.
농사를 짓는 여러 필지의 밭들이 있습니다. 이 밭들은 여러 필지의 땅 중에서 어느 것은 필히 맹지가 있을 것인즉, 맹지 주위의 토지 주인들은 맹지의 땅을 위하여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는 식량의 생산을 위한 공익목적을 위해서 맹지의 땅에게도 길을 내주어야만 한다는 것으로 귀결 될 것입니다.
토지에 대해서 만큼 사유 재산은 공익에 우선하여 공하여야 합니다. 모든 사유 재산은 공공의 법률에 의해 규제를 받고 있고 주위의 토지 통행권 또한 민법이 규정한 것으로 사유 재산이
라고 하여 길을 막아 맹지를 만들어 버린다면, 그 땅을 쓸모없게 만드는 것은 물론 공익에 반하여 허용 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럼 이 땅 주인은 길을 찾을 수 있을까요?
여러 분들이 아래 판결문을 읽어 보시고 그 여부를 판단 해 보시기 바랍니다.
없는 길을 만들고 찾는 방법을 안다면 돈을 벌수 있는 방법도 눈에 들어 올 것이라 봅니다.
왜? 부동산의 대박은 땅에서 오니까요...
이상 2008.08.26 경매의 전설 드림
===================================================================
대법원 2006.6.2. 선고 2005다70144 판결【통행권확인】
[공2006.7.15.(254),1249]
【판시사항】
[1]민법 제219조에 규정된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되는 경우, 그 통행로의 폭과 위치를 정하는 기준 및 주위토지통행권을 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한 범위까지 허용할 것인지 여부
[2]주위토지통행권의 확인을 구하는 특정의 통로 부분 중 일부분이 주위토지통행권에 관한 규정인 민법 제219조에 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법원이 취하여야 할 조치
[3]주위토지통행권의 행사에 의하여 그 통행에 방해되는 축조물의 철거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민법 제219조에 규정된 주위토지통행권은 공로와의 사이에 그 용도에 필요한 통로가 없는 토지의 이용이라는 공익목적을 위하여 피통행지 소유자의 손해를 무릅쓰고 특별히 인정되는 것이므로, 그 통행로의 폭이나 위치 등을 정함에 있어서는 피통행지의 소유자에게 가장 손해가 적게 되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고, 어느 정도를 필요한 범위로 볼 것인가는 구체적인 사안에서 사회통념에 따라 쌍방 토지의 지형적·위치적 형상 및 이용관계, 부근의 지리상황, 상린지 이용자의 이해득실 기타 제반 사정을 기초로 판단하여야 하며, 토지의 이용방법에 따라서는 자동차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의 개설도 허용되지만 단지 토지이용의 편의를 위해 다소 필요한 상태라고 여겨지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까지 자동차의 통행을 허용할 것은 아니다.
[2]주위토지통행권의 확인을 구하기 위해서는 통행의 장소와 방법을 특정하여 청구취지로써 이를 명시하여야 하고, 또한 민법 제219조에 정한 요건을 주장·입증하여야 하며, 따라서 주위토지통행권이 있음을 주장하여 확인을 구하는 특정의 통로 부분이 민법 제219조에 정한 요건을 충족한다고 인정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다른 토지 부분에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된다고 할지라도 원칙적으로 그 청구를 기각할 수밖에 없으나, 이와 달리 통행권의 확인을 구하는 특정의 통로 부분 중 일부분이 민법 제219조에 정한 요건을 충족하여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된다면, 그 일부분에 대해서만 통행권의 확인을 구할 의사는 없음이 명백한 경우가 아닌 한 그 청구를 전부 기각할 것이 아니라, 그 부분에 한정하여 청구를 인용함이 상당하다.
[3]주위토지통행권의 본래적 기능발휘를 위해서는 그 통행에 방해가 되는 담장과 같은 축조물도 위 통행권의 행사에 의하여 철거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1]민법 제219조 / [2] 민법 제219조, 민사소송법 제203조 / [3] 민법 제219조
【참조판례】 여기까지 읽어 주시고 밑의 내용은 참고적으로 읽어 주세요
++++++++++++++++++++++++++++++++++++++++++++++++++++++++++++++++
[1]대법원 1992. 4. 24. 선고 91다32251 판결(공1992, 1676), 대법원 1994. 10. 21. 선고 94다16076 판결(공1994하, 3068), 대법원 1995. 2. 3. 선고 94다50656 판결(공1995상, 1155), 대법원 1996. 5. 14. 선고 96다10171 판결(공1996하, 1860), 대법원 1996. 11. 29. 선고 96다33433, 33440 판결(공1997상, 166), 대법원 2002. 5. 31. 선고 2002다9202 판결(공2002하, 1537), 대법원 2005. 7. 14. 선고 2003다18661 판결(공2005하, 1308) / [2] 대법원 1992. 7. 24. 선고 91다47086, 47093 판결(공1992, 2528), 대법원 2004. 12. 24. 선고 2004다51757, 51764 판결 / [3] 대법원 1990. 11. 13. 선고 90다5238, 90다카27761 판결(공1991, 67)
【전문】
【원고(선정당사자),상고인】 원고
【피고,피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민우 담당변호사 김정범외 1인)
【원심판결】서울중앙지법 2005. 10. 7. 선고 2005나1710 판결
【주문】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 중앙 지방 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민법제219조에 규정된 주위토지통행권은 공로와의 사이에 그 용도에 필요한 통로가 없는 토지의 이용이라는 공익목적을 위하여 피통행지 소유자의 손해를 무릅쓰고 특별히 인정되는 것이므로, 그 통행로의 폭이나 위치 등을 정함에 있어서는 피통행지의 소유자에게 가장 손해가 적게 되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고, 어느 정도를 필요한 범위로 볼 것인가는 구체적인 사안에서 사회통념에 따라 쌍방 토지의 지형적·위치적 형상 및 이용관계, 부근의 지리상황, 상린지 이용자의 이해득실 기타 제반 사정을 기초로 판단하여야 하며( 대법원 2005. 7. 14. 선고 2003다18661 판결 등 참조), 토지의 이용방법에 따라서는 자동차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의 개설도 허용되지만 단지 토지이용의 편의를 위해 다소 필요한 상태라고 여겨지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까지 자동차의 통행을 허용할 것은 아니다 ( 대법원 1994. 10. 21. 선고 94다16076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용 증거를 종합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가 그 소유의 토지에서 공로에 출입하기 위하여 피고 소유의 이 사건 토지를 통행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인정하고, 나아가 그 통행권의 범위에 관한 원고의 주장, 즉 원고 선친들의 가족묘지로 사용되고 있는 위 토지에서 성묘, 벌초, 벌초 후의 초목 반출, 분묘의 설치 및 이장, 비석과 상석의 설치, 식목조경 등의 작업을 위해서는 차량의 출입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에 대하여, 공로에서부터 제3자 소유의 토지 및 피고 소유의 토지를 차례로 거쳐 원고 소유 토지에 이르기까지의 거리가 약 100m 정도로 가깝고(원심에서의 측량감정 결과에 의하면, 그 중에서 피고 소유 토지 부분은 약 44m에 불과하다) 위 각 토지가 평지인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도보로도 충분히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비용이 크게 늘어나는 것도 아닐 뿐더러, 위와 같은 작업들이 상시적으로 있는 것이 아닌 점, 이 사건 토지들 주변은 제주시 소유의 공동묘지로서 분묘들이 산재하여 있고 피고도 묘지를 설치하기 위하여 토지를 구입한 점 등 이 사건 각 토지의 이용관계 및 현황, 당사자의 이해관계, 주위환경을 고려할 때, 원고에게 피고 소유의 토지 중 청구취지 기재와 같은 폭 3m의 통로를 차량을 이용하여 통행할 권리는 인정되지 아니하고, 다만 도보를 통하여 출입하는데 필요한 범위 내에서만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된다고 판단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와 이 사건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러한 원심의 사실인정이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주위토지통행권의 범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나 원심이 원고의 이 사건 통행권 확인 청구는 토지 통행의 목적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어서 부당하다는 이유로 그 청구 전부를 기각한 조치는 수긍하기 어렵다.
원심이 인용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위토지통행권의 확인을 구하기 위해서는 통행의 장소와 방법을 특정하여 청구취지로써 이를 명시하여야 하고, 또한 민법 제219조 소정의 요건을 주장·입증하여야 하며, 따라서 주위토지통행권이 있음을 주장하여 확인을 구하는 특정의 통로 부분이 민법 제219조 소정의 요건을 충족한다고 인정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다른 토지 부분에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된다고 할지라도 원칙적으로 그 청구를 기각할 수밖에 없는 것이지만 ( 대법원 1992. 7. 24. 선고 91다47086, 47093 판결, 2004. 12. 24. 선고 2004다51757, 51764 판결 등 참조), 이와 달리 원고가 통행권의 확인을 구하는 특정의 통로 부분 중 일부분이 민법 제219조 소정의 요건을 충족하여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된다면, 원고에게 그 일부분에 대해서만 통행권의 확인을 구할 의사는 없음이 명백한 경우가 아닌 한 원고의 청구를 전부 기각할 것이 아니라, 그 부분에 한정하여 원고의 청구를 인용함이 상당하다.
그런데 이 사건 기록에 의하면, 원고가 차량을 이용한 통행의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통행권의 확인을 구하는 통로 부분은 피고 소유 토지의 남쪽 경계선에 설치된 담장을 따라 약 3m의 일정한 폭으로 특정한 것으로서, 원고 소유의
토지에서 공로에 이르는 최단거리의 통로이고, 본래 1필지이던 원고 소유의 토지와 피고 소유의 토지가 분할된 후 피고가 그 토지를 취득하기 전부터 원고가 통로로 사용하여 왔던 부분일 뿐만 아니라, 피고로서도 토지 매수 당시 그러한 원고의 통행사실을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비록 원고에게 차량을 이용하여 피고 소유의 토지를 통행할 권리는 없고 다만 도보로 통행할 권리만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그 통행으로 인한 손해가 가장 적은 장소는 원고가 확인을 구하는 통로 부분 중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봄이 상당하므로, 이러한 경우 원심으로서는 원고가 확인을 구하는 특정의 통로 부분 전부가 민법 제219조 소정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할 것이 아니라, 원고에게 도보 통행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통행권의 확인을 구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 나아가 도보로 통행하는데 필요한 통로의 폭 및 통로 부분의 면적을 심리한 다음, 원고의 명백한 의사에 반하지 않는 한 원고의 청구를 일부 인용하였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부분 원심판결에는 주위토지통행권 및 처분권주의에 관한 법리오해, 석명권 불행사, 심리미진으로 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니,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한편, 주위 토지 통행권의 본래적 기능발휘를 위해서는 그 통행에 방해가 되는 담장과 같은 축조물도 위 통행권의 행사에 의하여 철거되어야 하는 것인바{ 대법원 1990. 11. 13. 선고 90다5238, 90다카27761(병합) 판결 참조}, 원심이 원고에게 피고 소유의 토지 중 도보를 통하여 출입하는데 필요한 범위에 대하여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된다고 하는 한편, 토지 경계에 설치된 담장은 통행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이라고 하면서도 그 담장의 철거청구를 배척한 조치에는 판결이유의 모순 또는 주위토지통행권에 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므로, 이 부분 상고이유의 주장 역시 이유 있다.
따라서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황식(재판장) 이규홍 박재윤(주심) 김영란
======================================================================================
여기서부터 다시 내용을 잘 살펴 주세요
대법원 2005.12.9. 선고 2004다63521 판결 【주위토지통행권확인등】
[미간행]
【판시사항】
공로에 통하는 기존 통로가 당해 토지의 이용에 부적합하여 실제로 통로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 주위토지통행권의 인정 여부(적극)
【참조조문】
민법 제21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3. 31. 선고 92다1025 판결(공1992, 1421), 대법원 1994. 6. 24. 선고 94다14193 판결(공1994하, 2077), 대법원 2003. 8. 19. 선고 2002다53469 판결(공2003하, 1865)
【전 문】
【원고, 피상고인】 이성남 (소송대리인 변호사 최동렬)
【피고, 상고인】 백홍기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에이스 담당변호사 홍기종외 1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4. 10. 20. 선고 2002나2235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주위토지통행권은 어느 토지가 타인 소유의 토지에 둘러싸여 공로에 통할 수 없는 경우뿐만 아니라, 어떤 통로가 이미 있다고 하더라도 그 통로가 당해 토지의 이용에 부적합하여 실제로 통로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에도 인정될 수 있다( 대법원 1994. 6. 24. 선고 94다14193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가 이 사건 토지 아닌 별도의 통행로로서 주장하는 이른바 ‘중말도로’는 여러 필지의 임야나 대지, 밭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부지 소유자들도 각기 다른 데다가 그 위치와 경사도, 굴곡도, 주변 현황 등에 비추어 중말도로에 원고가 통로를 개설하는 데는 과다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고 또한 원고가 경기 가평군 설악면 설곡리 산 226 임야에 통로를 개설하는 것도 과다한 비용이 들거나 설령 개설된다고 하더라도 원고 토지의 이용에 부적합하여 통로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원고에게 피고 소유의 이 사건 토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하여 주위토지통행권이 있다고 하였는바, 기록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주위토지통행권에 관한 법리오해나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게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황식(재판장) 이규홍 박재윤(주심) 김영란
'조화로운삶 귀농귀촌 > 귀농 법령,세무,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목의 종류 (0) | 2008.09.17 |
---|---|
[스크랩] 지목의 종류와 약자 (0) | 2008.09.17 |
[스크랩] 건축허가시 필요한 각종 부담금 (0) | 2008.09.15 |
[스크랩] 상속과 관련된 간단한 법률상식 (0) | 2008.09.15 |
[스크랩] 1000평이면 몇㎡일까요? (0) | 2008.09.14 |